회원가입 로그인 070-5223-2261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환율 1350원 중반대로 상승 시도[외환브리핑]
날짜 2023-10-16 [00:12] count : 238

역외 1351.0원…3.2원 상승 출발 전망
이스라엘-하마스 교전, 중동전으로 확전 우려
"이란 참전시 유가 150달러↑·내년 GDP 1%p 하락"
국제유가 6% 급등·달러인덱스 106.60으로 강세
외국인 코스피서 15거래일째 순매도, 이탈 관심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지난주 1350원대로 들어선 원·달러 환율은 추가 상승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동발(發) 지정학적 위험이 확대되며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커지며 롱(달러 매수) 심리 자극과 함께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증시 이탈 등이 예상된다. 다만 환율이 1350원으로 훌쩍 오른 만큼 수출업체 고점매도, 외환당국의 미세 조정 경계감에 하단이 지지될 것으로 보인다.

14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의 공습을 받은 가자지구 북부에서 화염이 치솟고 있다. 사진=AFP

16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351.0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2.20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50.0원) 대비 3.2원 상승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주말 간 이스라엘과 팔라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의 교전은 확대됐다. 이스라엘 군대는 가자지구의 시민들에게 대피를 권고하고 대규모 병력을 접경 지역에 배치했다. 아울러 전쟁의 다음 단계를 대비한다고 발표했다.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공격을 강하게 반대하는 이란은 자국의 시리아 내 병력을 이스라엘 가까운 곳으로 이동시키고, 이스라엘의 전쟁 범죄와 대량 학살이 중단되지 않으면 사태는 통제불능 상황에 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란의 개입은 이번 사태가 중동 전체로의 확전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미국은 이란의 개입과 이스라엘-하마스 간 충돌 확대 방지 등을 위해 자국의 항공모함 등을 중동에 추가 파견하고 설리번 백안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란의 고위 관계자들과 회동했다. 이란이 전쟁에 직접 참여해 이번 사태가 확전 양상으로 전개된다면 국제유가의 급격한 변동성 확대가 발생할 우려가 커졌다.

블룸버그통신 산하 경제연구소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무력 충돌이 이스라엘-이란전으로 확전하면 유가가 배럴당 150달러를 넘고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GDP)이 예상치보다 1.0%포인트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확전 우려에 국제 유가와 안전자산 가격은 급등했다. 지난 13일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12월 인도분 선물은 전날보다 5.7% 급등해 배럴당 90.89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브렌트유는 분쟁이 시작된 후 일주일간 7.5% 상승해 지난 2월 이후 최대 주간 오름폭을 기록했다. 같은날 서부텍사스원유(WTI) 11월물도 5.9% 급등해 배럴당 87.7달러로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달러인덱스는 14일(현지시간) 오후 7시 32분 기준 106.60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주 105에서 106으로 올라온 이후 달러 강세를 유지 중이다. 달러·위안 환율은 7.30위안, 달러·엔 환율은 149엔대에 거래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매 흐름도 관심이다.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커진 만큼 외국인의 국내 증시 이탈 규모가 거셀 수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15거래일 연속 2조5000억원대를 순매도했다. 외국인들의 증시 순매도는 환율 상승을 지지하는 요인이다.

다만 1350원선으로 재진입하는 과정에서 수출업체는 환율 추가 상승을 관망하기 보다는 적극적인 매도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1400원이 가시권에 들어오면서 롱심리 과열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당국 미세조정도 큰 폭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1266 '사퇴 일축' 바이든, 흑인 교회 찾아 단결 호소…경합주서.. NO1 TRADING 2024-07-08 226
1265 뉴욕증시, '9부 능선' 넘었다…파월·CPI·실적 주목 [.. NO1 TRADING 2024-07-08 284
1264 美비농업 고용도 둔화할까…환율 1370원대 하락 시도[외환.. NO1 TRADING 2024-07-05 296
1263 테슬라 공매도 투자자, 이틀 동안 35억 달러 손실 NO1 TRADING 2024-07-05 267
1262 "엔비디아, 中서 올해 AI 칩 17조원 판매"…美 수출통.. NO1 TRADING 2024-07-05 262
1261 ‘7일 연속 상승’ 테슬라 6% 상승..엔비디아도 4%상승.. NO1 TRADING 2024-07-04 279
1260 S&P·나스닥 사상 최고치…엔비디아 4%·테슬라 6%대 상.. NO1 TRADING 2024-07-04 242
1259 '피벗 신중론' 시사한 FOMC 회의록…"일부는 노동시장 .. NO1 TRADING 2024-07-04 262
1258 ‘물가 둔화’ 인정한 파월…환율 1380원 중반대 전망[외.. NO1 TRADING 2024-07-03 258
1257 "인플레 둔화" 파월 발언에 美 증시↑…테슬라 10% 급등.. NO1 TRADING 2024-07-03 257
1256 파월 “인플레 꽤 많이 진전” S&P500 5500선 첫 .. NO1 TRADING 2024-07-03 252
1255 트럼프 발 ‘강달러’…환율 1380원대 안착 시도[외환브리.. NO1 TRADING 2024-07-02 274
1254 국채금리 급등에도 동반 상승…나스닥 0.83%↑ [뉴욕증시.. NO1 TRADING 2024-07-02 269
1253 트럼프發 물가 우려도 AI 기대 못꺾었다…S&P500 0... NO1 TRADING 2024-07-02 247
1252 강달러 완화 속 주요 통화 변동성…환율 1380원대 복귀 .. NO1 TRADING 2024-07-01 267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