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인공지능(AI)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제기된 고평가 논란이 심화되면서 주요 지수들이 약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53%,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17%, 그리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무려 2.04% 하락하며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장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AI 기반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인 팔란티어는 전날 월가 전망을 뛰어넘는 호실적을 발표하고 실적 가이던스까지 상향 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7.94% 급락했습니다. 이는 올해 들어 주가가 150% 이상 급등한 것에 대한 부담감으로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팔란티어의 급락은 다른 AI 관련 종목들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 냉각으로 이어졌습니다. AI 칩 대장주인 엔비디아가 3.96%, AMD는 3.70% 하락했으며, 테슬라도 5.15% 급락했습니다. 이 외에도 알파벳(-2.16%), 브로드컴(-2.81%), 아마존(-1.83%), 메타(-1.59%), 오라클(-3.75%) 등 AI 관련 주요 대형 기술주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습니다. 월가에서는 주가이익비율(PER)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뉴욕 증시의 현재 가치가 역사적 기준으로 역대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며 고평가 위험에 대한 경고음이 꾸준히 나왔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최근 뉴욕 증시의 AI 관련 주식 버블이 과거 '닷컴 버블' 때보다 심각하다는 의견까지 내놓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전날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CEO)께서 홍콩에서 열린 행사에서 향후 12~24개월 내에 10~20%의 증시 조정이 올 수 있다고 언급하신 것 또한 투자 심리 냉각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오늘 국내 증시는 뉴욕 증시에서 나타난 AI 관련 기술주들의 광범위한 하락과 고평가 논란, 그리고 전문가들의 조정 경고에 따라 다소 위축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최근 국내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던 AI 및 기술 성장주들 위주로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거나 투자 심리가 보수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께서는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하고, 기업 실적 및 밸류에이션을 더욱 면밀히 검토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