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070-5223-2261
 
오늘의 시황 내용
제목 2025년 09월 11일 해외시장 시황
날짜 2025-09-11 [01:29] count : 205

미 증시, 8 월 PPI 하락 및 오라클 호재에 힘입어 AI 주를 중심으로 상승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10일(수) 미 증시는 8월 PPI 하락 발표 이후 연준 금리 인하 내러티브 지속되며 상승 출발했으나, 기업 마진

축소 우려에 장중 낙폭 축소. 다만, 오라클 수주잔고 급등 속 주가 36% 상승에 힘입어 AI 관련주는 차별화

된 주가흐름 연출하며 3대 지수는 혼조세로 마감 (다우 -0.48%, S&P500 +0.30%, 나스닥 +0.03%)

미국 8월 헤드라인 PPI는 전년 대비 2.6% 상승하며 컨센서스(3.3%)와 전월치(3.1%)를 큰 폭 하회(MoM 기

준 -0.1% vs 컨센 0.3%, 전월 0.7%). 근원 PPI 또한 전년 대비 2.8% 상승에 그치며 컨센서스(3.5%)와 전월

치(3.4%를 모두 하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MoM 기준 상품 물가는 0.1% 상승한 반면 서비스 물가가

0.2% 하락하며 전체 생산자 물가 하락을 주도. 특히, 유통 서비스 마진이 1.7% 급락한 점(기계 및 차량 도

매 마진 -3.9%)이 금번 전체 생산자 물가 하락을 주도했던 배경.

시장 예상치를 큰 폭 하회한 PPI 발표 이후 재차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자극하며 미국채 10년물 금리도

4.0%대까지 하락. 금번 8월 PPI는 물가 안정 vs 마진 축소라는 양면적인 해석이 가능. 관세발 영향에도 인

플레이션 압력이 기업 공급망 전체로 아직까지 전이되지 않았다는 점은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속 시장 내 금

리 인하 내러티브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요인.

다만, 금번 PPI는 기업이 시장 점유율 하락 방어를 위해 소비자 가격 전가가 아닌 고율 관세를 흡수하고 있

다고 해석 가능. 이는 결국 향후 기업의 마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질 수 있음. 이에 미 증

시에서는 AI 관련주를 제외하고 여타 업종들은 하락세 연출. 결국, 물가 측면에서 연준 금리 인하 경로를 가

늠할 수 있는 메인 이벤트는 한국시간 기준 금일 저녁에 발표될 8월 CPI(YoY 컨센서스 2.9% vs 전월 2.7%,

MoM 컨센서스 0.3% vs 전월 0.2%)가 될 전망.

한편, 오라클은 잔여 성과 의무(RPO)가 4,550억 달러로 전년 대비 359% 폭증했다는 소식에 주가는 36%

급등. 지난주 브로드컴과 더불어 오라클 어닝콜에서도 AI 인프라 투자의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다는 점을 재

확인. 오라클 호재에 힘입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4%) 상승을 비롯해 엔비디아(+3.8%), 브로드컴

(+9.7%) 등 AI 반도체 관련주의 동반 급등은 금일 국내 증시 내 반도체 업종에도 훈풍으로 작용할 전망.

전일 국내 증시는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오라클 수주잔고 급등 속 AI 성장 모멘텀 부각 등 긍정적인 대외

요인과 더불어 대주주 양도세 기준 현행 유지 등 대내적인 정책 모멘텀까지 가세한 결과 금융, 지주, 반도체

업종 중심의 상승세에 힘입어 양 지수는 상승 마감 (코스피 +1.67%, 코스닥 +0.99%).

금일 국내 증시도 미 증시에서의 AI 반도체 중심의 주가 급등을 반영하며 AI 관련주 중심으로 양호한 주가

흐름을 연출할 전망. 다만, 선물, 옵션 동시 만기일 도래 속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유인 가중되며 상승

탄력은 일부 제한될 전망. 한편, 금일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대주주 양도세 기준에 대한

최종 입장을 밝힐 예정. 지주, 증권 업종 등은 대내적 세제 개편안 기대감을 반영하며 최근 주가가 급등했다

는 점을 감안시 이벤트 이후 단기적으로는 차익실현 출회될 수 있음을 감안할 필요.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오늘의 시황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849 2021년 12월03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2-03 91
848 2021년 12월02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2-02 140
847 2021년 12월02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2-02 97
846 2021년 12월01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30 129
845 2021년 12월01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30 99
844 2021년 11월30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29 122
843 2021년 11월30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29 97
842 2021년 11월26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25 141
841 2021년 11월25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25 134
840 2021년 11월25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24 152
839 2021년 11월24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24 144
838 2021년 11월24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24 137
837 2021년 11월23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24 150
836 2021년 11월23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22 146
835 2021년 11월22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11-22 165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