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070-5223-2261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中관세 인하 검토와 한미 협의 기대…환율 1420원대서 관망[외환브리핑]
날짜 2025-04-24 [07:29] count : 166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이 1420원대에서 레인지 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對中) 관세의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달러에 강세 압력을 가하고 있고, 위안화는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 한국과 미국의 통상협의를 앞두고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환율 방향성을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AFP

24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424.8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2.90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420.9원, 오후 3시 30분 기준) 대비 7.1원 상승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새벽 2시 마감가는 1427.2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1420.9원)보다는 6.3원 올랐다.

간밤 미·중 무역 갈등이 완화할 조짐을 보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약 50~65% 수준으로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이 현재 중국에 부과하고 있는 145%의 절반 이하로 줄인다는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대중 관세 관련 “상당히 낮아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날 국제금융협회(IIF) 행사에서 미국과 중국의 관세에 대해 “여러 번 말씀했듯이 양측 모두 현재 관세 수준이 지속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따라서 양측이 서로 관세를 인하하더라도 놀랍지 않다”고 말해, 시장의 기대는 더욱 커졌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대중 관세를 인하할 생각은 전혀 없다’는 입장이 전해지면서 기대감이 다소 꺾였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의 경기가 둔화할 것이란 우려가 또 나왔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베이지북(경기동향보고서)에서는 미국 경제활동이 크게 변하진 않았지만 국제 무역 불확실성이 만연해졌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몇 달 동안 성장이 제한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미국의 민간 경기는 1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후퇴했다. 특히 서비스업 경기의 확장세가 큰 폭으로 둔화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에 따르면 4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51.4로 전달 확정치 54.4보다 3.0포인트 내려갔다.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제조업 PMI 예비치는 50.7로 전달 확정치 50.2 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2개월 만에 가장 높지만 50.0(변동 없음) 수준의 미미한 확장세다.

미중 관세전쟁 완화 기대감에 달러화는 이틀 연속 강세다. 달러인덱스는 23일(현지시간) 오후 7시 28분 기준 99.77을 기록하고 있다. 위안화도 강세다. 달러·위안 환율은 전날 7.30위안대에서 현재는 7.28위안대로 내려왔다.

반면 달러·엔 환율은 143엔으로, 엔화는 약세다. 베센트 장관이 “일본과 무역 협상에서 환율 목표를 추구하지 않는다”는 발언에 달러·엔 환율은 상승했다.

이날 환율은 달러 강세와 위안화 강세에 양방향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우리나라의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0.2% 감소하며 ‘역성장’을 실현해,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면 환율이 상승 압력을 크게 받을 수 있다.

다만 우리나라 시간으로 이날 저녁 9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USTR(미국무역대표부) 대표와 ‘한미 2+2 통상 협의’를 개최하는 만큼, 시장의 관망세도 클 것으로 보인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1162 ‘美 인력 부족 점점 완화’ 뉴욕증시 상승…다우 0.36%.. NO1 TRADING 2024-06-05 265
1161 뉴욕증시, 고용지표 둔화에 상승...게임스탑 5%↓[출근전.. NO1 TRADING 2024-06-05 264
1160 '달러 약세' 환율 1360원대 하락…美제조업 경기 둔화[.. NO1 TRADING 2024-06-04 251
1159 버크셔 주가 장중 99% 폭락?…전산오류에 거래소 소동 [.. NO1 TRADING 2024-06-04 266
1158 전산장애 소동에 깜놀한 美 투심...다우 0.3% 하락 [.. NO1 TRADING 2024-06-04 255
1157 예상치 부합한 PCE 물가…환율 1380원 지지력 테스트[.. NO1 TRADING 2024-06-03 282
1156 엔비디아 고점 우려 속 美 고용지표 주목 [출근전 꼭 글로.. NO1 TRADING 2024-06-03 305
1155 [이번 주 증시 전망]코스피 지수 2580~2700 예상….. NO1 TRADING 2024-06-03 322
1154 美1분기 GDP 둔화…환율 1370원 초반대로 하락[외환브.. NO1 TRADING 2024-05-31 337
1153 美 GDP 증가율 둔화·대형주 실적 부진…나스닥 1.08%.. NO1 TRADING 2024-05-31 295
1152 뉴욕증시, 대형주 실적 부진에 하락 마감…세일즈포스 19%.. NO1 TRADING 2024-05-31 283
1151 미 국채 금리 이틀째 상승…금리인하 지연 전망에 수요 부진.. NO1 TRADING 2024-05-30 352
1150 美국채금리 급등에 더 강해진 달러…환율 1370원대 재진입.. NO1 TRADING 2024-05-30 292
1149 미 국채 입찰 부진에 금리 급등…다우 1.06%↓ [뉴욕증.. NO1 TRADING 2024-05-30 294
1148 美연준 매파 발언과 소비자 심리 개선…환율 1360원대 재.. NO1 TRADING 2024-05-29 299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