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070-5223-2261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트럼프 관세 완화 제스처에 사흘만에 반등…반도체지수 2%↑ [뉴욕증시 브리핑]
날짜 2025-03-06 [08:46] count : 171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정책을 완화할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3거래일만에 반등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485.60포인트(1.14%) 오른 43,006.59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4.48포인트(1.12%) 상승한 5,842.63에, 나스닥종합지수는 267.57포인트(1.46%) 뛴 18,552.73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행정부는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한 관세 부과 정책에서 한 발 물러나는 모습을 보였다. 백악관은 "우리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자동차에 대해 1개월 동안 (관세) 면제를 제공할 것"이라며 "상호관세는 여전히 4월 2일에 발효되지만, USMCA에 관련된 회사의 요청에 따라 대통령은 경제적으로 불리하지 않도록 1개월 동안 면제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발표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주요 완성차 업체 대표들과 만나 관세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관세 문제를 두고 통화하기도 했다.

자동차 관세 유예 발표에 더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외신 인터뷰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부과된 관세는 유지되겠지만 캐나다산 에너지 수입품에 대한 10%의 관세는 철회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식시장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협상용이라는 기대감이 되살아났고, 장 초반 약세를 보이던 주요지수는 반등했다.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혼재됐다.

우선 미국의 2월 민간 고용 증가치가 예상치를 크게 밑돌자 경기둔화 불안이 확산됐다.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달 민간 고용은 전달보다 7만7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시장 예상치 14만명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반면 미국 서비스업 업황이 개선되며 확장 국면을 유지했다는 소식이 투자심리를 녹였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3.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1월의 52.8에서 0.7포인트 상승했고 시장 예상치 52.7도 상회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의 2월 서비스업 PMI도 51을 기록하며 확장 국면을 이어갔다. 예비치 49.7도 마찬가지로 상회했다.

업종별로 보면 에너지와 유틸리티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임의소비재와 의료건강, 산업, 부동산, 기술, 통신서비스는 1% 이상 상승했고 소재는 2.63% 급등했다.

미국 자동차 업체들의 주가 상승세도 눈길을 끌었다. 관세 유예 덕이다. 포드모터스는 5.81%, 제너럴모터스는 7.16%, 스텔란티스는 9.24% 뛰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도 애플을 제외하고 모두 강세였다. 마이크로소프트가 3.19% 뛰었고 아마존과 메타도 2%대 상승률을 보였다. 테슬라도 2.60% 올랐다.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가 집중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09% 상승했다. 엔비디아는 1.13%, TSMC는 2.38%, 브로드컴은 2.19% 올랐고 ASML은 4% 이상 상승했다.

중국 관련주도 강세를 보였다. 주식예탁증서(ADR) 기준 트립닷컴은 7.85%, 징동닷컴은 6.86%, 핀둬둬는 6.27% 올랐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경기 평가 보고서인 베이지북에선 관세 위협에 대한 우려가 확인됐다. 2월 베이지북에선 '관세'가 총 45회 언급됐는데 이는 직전 보고서와 비교해 급격히 증가한 수치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상반기에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22.5%로 소폭 상승했다. 전날 마감 무렵엔 18.9%였다.

대신 상반기 내 25bp 인하 확률은 50.8%로 소폭 올랐고 50bp 인하 확률은 25.1%로 내려갔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58포인트(6.72%) 내린 21.93을 기록했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1727 美물가 안도, 관세 우려는 여전…환율 1450원대 지속[외.. NO1 TRADING 2025-03-13 126
1726 소비자물가 상승 둔화에 주요 지수 안도…테슬라 7%↑ [뉴.. NO1 TRADING 2025-03-13 140
1725 관세 불확실성 속 유로 강세…환율 1450원 하회 시도[외.. NO1 TRADING 2025-03-12 126
1724 S&P500, 한때 고점 대비 10% 폭락…기술적 조정국면.. NO1 TRADING 2025-03-12 168
1723 ‘경기침체’ 허용한 트럼프…환율 1460원대 진입 기로[외.. NO1 TRADING 2025-03-11 158
1722 "버핏이 팔 때 팔았어야"…주저앉은 나스닥에 개미들 '한숨.. NO1 TRADING 2025-03-11 150
1721 관세 공포 달래주는 파월…환율 1440원 흐름 지속[외환브.. NO1 TRADING 2025-03-10 169
1720 CPI 발표, 정부 셧다운 데드라인, 오라클 실적 공개[이.. NO1 TRADING 2025-03-10 160
1719 美자동차 관세 유예…환율 1440원대로 급락 전망[외환브리.. NO1 TRADING 2025-03-06 141
1718 트럼프 관세 완화 제스처에 사흘만에 반등…반도체지수 2%↑.. NO1 TRADING 2025-03-06 171
1717 美경기 둔화 키우는 트럼프 관세…환율 1450원대로 하락[.. NO1 TRADING 2025-03-05 156
1716 '관세 전쟁' 격화에 주요 지수 이틀째 하락…금융주↓ [뉴.. NO1 TRADING 2025-03-05 162
1715 美스태그플레이션 대두…환율 1440원대 반등 경계[외환브리.. NO1 TRADING 2025-02-24 148
1714 이번 주 美 물가·엔비디아 실적 공개…인플레 7개월 만에 .. NO1 TRADING 2025-02-24 145
1713 달러 약세와 엔화 강세의 합작…환율 1430원 저항선 하회.. NO1 TRADING 2025-02-21 154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