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070-5223-2261
 
해외선물뉴스 내용
제목 잭슨홀 피봇 베팅…환율 1320원대서 하단 탐색[외환브리핑]
날짜 2024-08-21 [01:06] count : 221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은 1320원대로 내려와 하단 탐색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잭슨홀 미팅이 가까워지면서 피봇(통화정책 전환) 신호가 나올 것이란 시장의 기대가 커지면서 달러화는 약세로 완전히 방향을 정했다. 따라서 글로벌 달러화 약세와 아시아 통화 강세에 연동해 환율은 추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AFP

21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325.0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2.65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33.2원, 오후 3시 30분 기준) 대비 5.55원 하락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새벽 2시 마감가는 1332.5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1333.2원)보다 0.7원 내렸다. 야간 장중에도 환율은 1330원선을 하회하는 등 추가 하락세를 보였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 강경 매파(통화긴축 선호)로 분류되는 미셸 보먼 이사가 인플레이션이 계속 하락한다면 금리 인하를 지지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그는 20일(현지시간) 공개 발언에서 “나의 기본 전망은 현재 통화정책 기조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더욱 하락한다는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2% 목표를 향해 지속적으로 움직인다면 “통화정책이 경제활동과 고용을 지나치게 제약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연방기금금리를 점진적으로 낮추는 게 적절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연례 비농업 부문 고용 수정치의 발표를 앞두고 시장에선 경계감도 드러났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3월까지 12개월간의 비농업 고용 수정치를 21일(현지시간)에 공개한다. 이번에 나오는 수정치는 예비치다. 최근 미국 고용과 실업률로 시장의 핵심 관심사가 옮겨간 만큼 수정폭에 따라 시장은 급변동할 수도 있다. 결과에 따라 잭슨홀에서 파월 의장의 연설 내용도 영향을 피할 수 없다.

이같은 영향이 반영된 듯 9월 ‘빅컷(50bp 금리인하)’ 확률은 다시 커졌다. 고용 수정치 결과에 따라 9월 빅컷 가능성이 다시 탄력을 받을 수도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9월 50bp(1bp=0.01%포인트) 인하 확률을 32.5%로 반영했다. 25bp 인하 확률은 67.5%로 줄었다. 12월 말까지 연준이 100bp 인하할 확률은 44.5%로 반영돼 여전히 가장 가능성이 큰 시나리오로 꼽히고 있다.

시장은 23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잭슨홀 미팅을 주목하고 있다. 파월 의장의 최근 경기에 대한 판단을 통해 연준이 9월 금리 인하폭을 25bp에 그칠지, 아니면 50bp까지 인하할 것인지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캐나다의 7월 전품목(헤드라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대비 2.5% 올랐다. 전달 2.7%에 비해 상승률이 0.2%포인트 둔화한 것으로,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다. 7월 인플레이션이 예상대로 둔화했다는 소식에 ‘3연속’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캐나다 국채 수익률은 일제히 하락했고, 미 국채 금리도 내렸다.

이에 달러인덱스는 20일(현지시간) 오후 7시 31분 기준 101.33을 기록하고 있다. 전날 101 후반대에서 초반대로 하락한 것이자, 8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달러 대비 아시아 통화는 강세다. 달러·엔 환율은 145엔대, 달러·위안 환율은 7.11위안대로 모두 하락세다.

이날 환율은 연준의 피봇 베팅에 따른 추가 달러 약세로 인해 하락 압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여름 휴가에 따른 역내 수급 부재로 인해 장이 얇아진 탓에 장중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다만 환율 레벨이 크게 낮아진 만큼 실수요 저가매수 유입으로 하단이 지지될 수도 있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해외선물뉴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1727 美물가 안도, 관세 우려는 여전…환율 1450원대 지속[외.. NO1 TRADING 2025-03-13 132
1726 소비자물가 상승 둔화에 주요 지수 안도…테슬라 7%↑ [뉴.. NO1 TRADING 2025-03-13 145
1725 관세 불확실성 속 유로 강세…환율 1450원 하회 시도[외.. NO1 TRADING 2025-03-12 132
1724 S&P500, 한때 고점 대비 10% 폭락…기술적 조정국면.. NO1 TRADING 2025-03-12 175
1723 ‘경기침체’ 허용한 트럼프…환율 1460원대 진입 기로[외.. NO1 TRADING 2025-03-11 160
1722 "버핏이 팔 때 팔았어야"…주저앉은 나스닥에 개미들 '한숨.. NO1 TRADING 2025-03-11 154
1721 관세 공포 달래주는 파월…환율 1440원 흐름 지속[외환브.. NO1 TRADING 2025-03-10 176
1720 CPI 발표, 정부 셧다운 데드라인, 오라클 실적 공개[이.. NO1 TRADING 2025-03-10 167
1719 美자동차 관세 유예…환율 1440원대로 급락 전망[외환브리.. NO1 TRADING 2025-03-06 146
1718 트럼프 관세 완화 제스처에 사흘만에 반등…반도체지수 2%↑.. NO1 TRADING 2025-03-06 174
1717 美경기 둔화 키우는 트럼프 관세…환율 1450원대로 하락[.. NO1 TRADING 2025-03-05 158
1716 '관세 전쟁' 격화에 주요 지수 이틀째 하락…금융주↓ [뉴.. NO1 TRADING 2025-03-05 165
1715 美스태그플레이션 대두…환율 1440원대 반등 경계[외환브리.. NO1 TRADING 2025-02-24 153
1714 이번 주 美 물가·엔비디아 실적 공개…인플레 7개월 만에 .. NO1 TRADING 2025-02-24 150
1713 달러 약세와 엔화 강세의 합작…환율 1430원 저항선 하회.. NO1 TRADING 2025-02-21 160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