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070-5223-2261
 
오늘의 시황 내용
제목 2023년 05월19일 해외시장 시황
날짜 2023-05-19 [00:07] count : 122
18 일(목) 미국 증시는 연준 위원들의 추가 인상 시사성 발언, 경기선행지수 13 개월 연속 하락 소식에도, 차주 부채한도 협상 기대 속 엔비디아(+4.9%), 마이크론(+4.1%), 넷플릭스(+9.2%) 등 AI 및 반도체주, 성장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상승 마감(다우 +0.3%, S&P500 +0.9%, 나스닥 +1.5%).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는 -0.6%(MoM)으로 전월(-1.2%)에 하락폭이 축소됐으며, 예상치(-0.6%)에 부합. 집계 측은 13개월 연속 지수가 하락했다면서, 2분기부터 시작되는 경기 위축이 올해 중반까지 완만한 침체로 경제를 이끌 것이라고 밝힘.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24.2 만건으로 전주(26.4 만건) 및 예상치(25.4 만건)를 모두 하회.

매카시 하원의장은 지난 17 일 디폴트는 없을 것이라고 발언한데 이어, 18 일에도 기자회견을 통해 부채한도 합의에 도달할 길이 보인다면서 이르면 다음주에 하원 표결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

제임스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인플레 둔화 속도가 기대했던 것에 비해 느리기 때문에, 보험 성격으로 약간의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발언. 금리인상과 동결 가능성 모두 열어놓고 있으나, 1970 년대처럼 인플레이션이 더 올라갈 수 있다는 점이 리스크라고 평가.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는 향후 수주 동안 경제 지표에 따라 6 월 FOMC 에서 금리인상 중단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겠으나, 현 시점에서는 아직까지 그 지점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표명. 동시에 인플레이션 둔화에 진전이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2% 인플레이션에 도달하기까지는 갈 길이 멀었음을 시사.

제퍼슨 연준 부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수준에 있지만, 추가 정책을 단행하기 전에 금리인상의 효과를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 통화정책은 시차를 두고 작동하는 편이며, 1 년의 시차는 고금리 정책이 수요에 반영될 정도의 충분한 시간은 아니라고 설명. 경제 성장과 관련해서는 은행 스트레스, 지정학적 불안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졌으나, 2 분기에 미국 경제는 성장할 것으로 예상.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오늘의 시황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702 2021년 07월22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22 137
701 2021년 07월22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22 107
700 2021년 07월21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21 126
699 2021년 07월21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21 107
698 2021년 07월20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20 76
697 2021년 07월20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20 111
696 2021년 07월16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16 111
695 2021년 07월16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16 131
694 2021년 07월15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15 109
693 2021년 07월15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15 146
692 2021년 07월14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14 92
691 2021년 07월14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14 97
690 2021년 07월13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13 137
689 2021년 07월13일 해외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13 145
688 2021년 07월09일 국내시장 시황 NO1 TRADING 2021-07-09 103
게시판 검색하기
검색
이전페이지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