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0
070
5223
2261
회원가입
오늘의 증시전망
국내선물뉴스
해외선물뉴스
오늘의 시황
빠른 상담 신청하기
관심종목
선물옵션
해외선물
국내 및 해외
카카오톡 상담
회사소개
국내선물
해외선물
고객센터
리서치센터
실시간 매매신청
NO1
인사말
사업영역
비전
국내선물 알아보기
국내선물 상품소개
국내선물 거래방법
코스피200 차트
해외선물 알아보기
해외선물 상품소개
해외선물 거래방법
해외선물 차트
공지사항
원격 지원
거래 수수료
오늘의 증시전망
국내선물 뉴스
해외선물 뉴스
오늘의 시황
신청 현황
회원가입
로그인
070-5223-2261
리서치센터
오늘의 증시전망
국내선물뉴스
해외선물뉴스
오늘의 시황
게시판 글쓰기폼
이 름
:
비밀번호
:
글을 수정하거나 삭제하실때 사용합니다.
이메일
:
연락 받으실 메일 주소를 입력하세요.
제 목
:
비밀글
<p>미 증시, 10 월 FOMC 에서의 파월 의장 매파 발언에 혼조세로 마감</p> <p>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p> <p>29일(수) 미 증시는 10월 FOMC에서 연준의 25bp 금리 인하 단행, 12월 1일부터 양적긴축 종료 예고에도</p> <p>파월 의장의 “12월 추가 금리 인하 확정적이지 않다”라는 발언 속 향후 금리 인하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 확</p> <p>대된 영향으로 3대 지수는 혼조세로 마감(다우 -0.16%, S&P500 -0.00%, 나스닥 +0.55%)</p> <p>10월 FOMC에서 연준은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기존 4.00~4.25% → 3.75~4.00%로 2연속 25bp 인</p> <p>하 단행. 파월 의장은 인플레는 단기적으로 상방, 고용위험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황에서 금번 인하의 배경</p> <p>을 노동시장 둔화라고 언급함에 따라 금리 인하의 성격이 위험 관리 차원의 보험성임을 확인. 이와 더불어</p> <p>연준은 ‘22년 6월부터 재개했던 양적긴축(QT, 대차대조표 축소)을 오는 12월 1일부터 종료하겠다고 발표.</p> <p>전반적으로, 시장 예상에 부합했던 FOMC 결과였음에도 파월 의장의 “12월 추가 인하가 확정된 것은 아니</p> <p>다”라고 언급한 점이 향후 금리 인하 경로에 대한 시장 우려를 확대. 특히, 금번 회의에서 50bp 인하 찬성</p> <p>(스티브 마이런 이사), 금리 동결(제프리 슈미트 연은 총재) 등 연준 내 2명의 반대 의견이 나왔다는 점이 향</p> <p>후 12월 FOMC에서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평가. 이를 반영하여, Fed</p> <p>Watch 상 12월 금리 동결 확률 전일 9% → 32%로 급등하였고, 미국채 10년물 금리도 4%대 상회.</p> <p>이러한 가운데 장 마감 후 MS, 알파벳, 메타의 실적 발표 이후 빅테크 3사의 주가는 엇갈린 방향성을 보이</p> <p>고 있는 흐름. 3개사 모두 시장 예상 대비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MS(자본지출 전분기 대비 44% 증가</p> <p>속 비용 부담 우려, 시간 외 -3.7%), 메타(세금 관련 비용 급증 속 EPS 1.25달러로 예상치 6.69 달러 대폭</p> <p>하회, 시간 외 -7.8%)는 주가 하락. 반면, 알파벳(매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상회, 클라우드 부문 매출액</p> <p>YoY 35% 성장, 시간 외 +6.3%)은 상승. 그 외에 전반적으로 빅테크 3사의 공격적인 Capex 기조는 지속됨</p> <p>에 따라 AI에 대한 견조한 성장 내러티브가 향후 지속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은 긍정적.</p> <p>전일 국내 증시는 APEC 정상회담 속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기대감과 엔비디아발 훈풍, SK하이닉스 분기 사</p> <p>상 최대치 실적 발표 속 기관 매수세가 집중되며 반도체, 원전이 랠리를 주도한 결과 코스피는 재차 사상 최</p> <p>고치 경신. 다만, 코스닥은 차익실현 매물출회되며 약보합 마감 (코스피 +1.76%, 코스닥 -0.19%)</p> <p>금일 국내 증시는 10월 FOMC에서의 12월 추가 인하 불확실성 확대에도 엔비디아(+3.0%) 상승 속 AI 내러</p> <p>티브 지속, 한미 관세 협상 합의 속 자동차 등 대형 수출주를 중심으로 상승 출발할 것으로 전망.</p> <p>한편, 전일 한미 관세 협상 세부 합의 결과가 발표된 가운데 한국은 3,500억 달러 중 2천억 달러를 현금 투</p> <p>자하되 연간 한도를 200억 달러로 제한하기로 합의(1,500억 달러는 조선업 협력)함에 따라 외환시장 충격</p> <p>적을 것이라는 인식 속 원달러 환율은 1,420원대로 하락. 그 외에 상호관세 15% 유지, 자동차 관세 25% →</p> <p>15% 인하, 의약품 목재 등 품목관세 최혜국 대우, 반도체의 경우 대만과 불리하지 않은 수준의 관세 적용</p> <p>합의 등 전반적으로 국내 수출 산업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합의 결과로 판단.</p>
링크 1
:
첨부 1
:
첨부 2
:
저장하기
취소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