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0
070
5223
2261
회원가입
오늘의 증시전망
국내선물뉴스
해외선물뉴스
오늘의 시황
빠른 상담 신청하기
관심종목
선물옵션
해외선물
국내 및 해외
카카오톡 상담
회사소개
국내선물
해외선물
고객센터
리서치센터
실시간 매매신청
NO1
인사말
사업영역
비전
국내선물 알아보기
국내선물 상품소개
국내선물 거래방법
코스피200 차트
해외선물 알아보기
해외선물 상품소개
해외선물 거래방법
해외선물 차트
공지사항
원격 지원
거래 수수료
오늘의 증시전망
국내선물 뉴스
해외선물 뉴스
오늘의 시황
신청 현황
회원가입
로그인
070-5223-2261
리서치센터
오늘의 증시전망
국내선물뉴스
해외선물뉴스
오늘의 시황
게시판 글쓰기폼
이 름
:
비밀번호
:
글을 수정하거나 삭제하실때 사용합니다.
이메일
:
연락 받으실 메일 주소를 입력하세요.
제 목
:
비밀글
<p>미 증시, 셧다운 종료,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감 속 상승</p> <p>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p> <p>20일(월) 미 증시는 케빈 해싯 위원장의 금주 내 셧다운 종료 가능성 시사 발언, 트럼프 유화적 발언 속 미중</p> <p>무역갈등 완화된 가운데 아이폰17 판매 호조 속 애플(+3.94%) 사상 최고치 경신에 힘입어 3대 지수는 상승</p> <p>마감 (다우 +1.12%, S&P500 +1.07%, 나스닥 +1.37%)</p> <p>셧다운 사태 해소 조짐+미중 무역 갈등 완화+지역은행 부실사태 진정 속 실적 시즌 기대감 이어가며 미 증</p> <p>시는 재차 반등하는 흐름. 이 날 케빈 해싯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인터뷰에서 이번주 중으로 20일</p> <p>째로 접어든 셧다운 종료 가능성을 언급하며 투자 심리 개선에 일조. 연방 정부 재개될 경우 불확실성 해소</p> <p>와 더불어 재정 지출 확대에 따른 추가적인 증시 모멘텀 생성 가능하다고 판단. 실제로, 과거 셧다운 종료 이</p> <p>후 100일 동안 평균적으로 S&P500은 +6.6%의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다는 점도 참고해볼 필요.</p> <p>중국에 대한 트럼프의 유화적인 발언에 힘입어 미중 무역 갈등 이슈도 점차 완화되는 흐름. 이 날에도 트럼</p> <p>프는 “시진핑 주석과 한국에서 공정한 무역협정을 체결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미중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p> <p>을 높임. 특히, 최근 중국에 대한 트럼프의 유화적인 스탠스 전환이 특징적인데, 시기적으로 연말 소비시즌을</p> <p>앞둔 가운데 내년도 중간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관세 전쟁이 극단으로 치닫는 상황을 피하는 의도로 보임. 중</p> <p>국도 하반기 경제 하방 압력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미중 무역 갈등은 경제에 있어 리스크 요인. 이</p> <p>를 감안시, 월 말 APEC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협상이 유의미하게 진전될 것으로 예상.</p> <p>대외 불확실성 요인이 점차 해소되며 시장은 월 말 예정된 빅테크 실적과 10월 FOMC 일정에 초점을 맞출</p> <p>맞출 것으로 보임. 현재 미 증시의 실적 전망치는 지속적으로 개선되며 어닝 서프라이즈에 대한 기대감을 높</p> <p>이고 있는 흐름(1개월 전 대비 EPS 전망치 상향률 S&P500 +1.2%, S&P IT 섹터 +2.4%). 현재 S&P500 12</p> <p>개월 선행 PER은 22.5배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높아졌기 때문에 금번 실적 시즌을 거치며 견조한 실적</p> <p>이 밸류에이션 부담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지에 주목. 여기에 10월 FOMC가 금리 인하 내러티브를 재확인하</p> <p>는 수준으로 무난하게 소화될 경우 연말까지 미 증시는 완만한 상승 흐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p> <p>전일 국내 증시는 미중 무역 갈등 완화, 지역은행 부실 사태 진정 속 대외 변수 안정화된 가운데 기관을 중</p> <p>심으로 강력한 매수세가 집중된 결과 양 지수는 상승 마감. 특히, 최근 코스피의 연이은 신고가 경신 속 실적</p> <p>전망에 대한 기대감이 부각된 증권 업종이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코스피 +1.76%, 코스닥 +1.89%)</p> <p>금일 국내 증시도 연이은 최고치 경신에 따른 차익실현 욕구 점증에도 대외 불확실성 여건 완화 속 실적 시</p> <p>즌 기대감에 힘입어 전일에 이어 양호한 흐름을 연출할 것으로 전망. 한편, 반도체 일변도의 9월 증시와 달</p> <p>리 최근 국내 증시는 반도체와 더불어 2차전지, 자동차, 전력기기, 증권 업종 등 기존 주도주와 소외주까지</p> <p>걸쳐 업종 전반의 상승세가 연출되고 있는 상황. 금주부터 국내도 주요 기업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실적 시</p> <p>즌에 진입함에 따라 강세장의 온기가 실적 모멘텀을 보유한 종목 단위로 확산될 것으로 판단.</p>
링크 1
:
첨부 1
:
첨부 2
:
저장하기
취소하기